기업 정보 플랫폼 잡플래닛(대표 황희승, 윤신근)이 취직 및 이직을 준비하는 준비생들에게 현실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매주 각 부문 별 ‘일하기 좋은 회사’ 순위를 선정한다.
이번에는 클라우드 부문 일하기 좋은 회사 Best20을 선정했다. 요즘 IT 업계에서는 클라우드가 대세다. 코로나19 여파로 많은 기업들이 비대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서비스형 인프라(IaaS)를 도입하는 등 클라우드를 채택하고 있다.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도 합리적이어서 대형 IT 기업들은 고객 정보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로 옮겨가는 추세다.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부터 네이버, KT, NHN 등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그리고 클라우드 관리 기업(MSP)까지. 잡플래닛 ‘컴퍼니 타임스’가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된 기업 중 일하기 좋은 기업들을 선정했다.
2020년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전현직자가 남긴 총만족도 점수와 복지·급여, 승진 기회·가능성, 워라밸(업무와 삶의 균형), 사내문화, 경영진 평가 등을 반영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리뷰가 일정 수 이상인 기업만을 대상으로 산정했다. 만점은 10점이다.
잡플래닛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가 일하기 좋은 클라우드 기업 중 유일한 8점대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클라우드 업계의 해외 공룡이라 불리는 AWS를 바짝 뒤쫓고 있다. 이 기업의 속도감 있는 성장은 내부에서도 느끼고 있었다.
“매해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를 경험할 수 있다” “성장하기는 상당히 좋음” “여러가지 기술을 체험할 수 있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업” 등 칭찬이 줄을 잇는다. 네이버 본사 못지 않은 복리후생도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많아도 너무 많은 일이 치명적인 단점으로 언급된다. 일이 너무 많아서 야근을 해도 끝이 없을 정도라고 한다. 수직적인 조직 구조도 단점으로 꼽힌다. 보고 자료가 많고 승인 단계가 많아 본사인 네이버보다 조금 딱딱한 분위기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한 현직원은 “보수적인 지휘 체계가 있지만 타 기업 대비 덜하다”라고 남기기도 했다.
동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다이크가 총 7.8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클라우다이크는 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용량을 선택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다. 올해 9월 시리즈A 투자를 완료했다.
20명 내외의 소규모 중소 기업인 클라우다이크의 가장 큰 장점은 워라밸과 사내문화로 꼽혔다. 정시 퇴근이 보장되어 있는 편이며 수평적인 분위기 속에서 불편한 격식 없이 소통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 전직원은 “공기업급의 워라밸”이라고 적기도 했다. 다만 개발 인력이 부족해 클라우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현재 기회를 잘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는 쓴소리도 있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총 7.75점으로 일하기 좋은 클라우드 기업 3위에 올랐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로부터 2019년 말 분리돼 AI기술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 서비스 모델로는 기업용 협업 플랫폼인 카카오워크(KaKao Work)와 카카오아이클라우드(KaKao i Cloud)가 있다.
아직 성공한 서비스가 없고, 구체적인 방향성이 잡혀 있지 않아 어수선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너무 다양한 것을 하려다보니 조금 산만하고 리소스가 계속 부족한 것 같음” “두서 없는 업무 흐름” “사업구조가 불분명함” “이것저것 하는 건 많은 듯 한데 아직까지 무슨 회사인지 잘 모르겠음” “뭘 하려는 건지 모르겠다” 등 전현직원들의 리뷰 속에서 불만을 읽어내긴 어렵지 않았다.
또 단점 키워드로 눈에 띄는 건 SI(시스템 통합) 기업이었다. 일부 전현직자들은 리뷰를 통해 “개발자가 대우받으면서 일할 수 있는 회사였는데, B2B 계약으로 SI화 되고 있음” “SI에서 온 윗사람들. 여기 그 문화를 넣기 위해 고생한다” “회사가 점점 SI화되고 꼰대 조직장이 많다고 함” 등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SI 기업 특유의 보수적인 성격을 띠게 됐다고 남겼다.
이어 7.56점을 받은 아마존웹서비스가 종합 7.52점을 받으며 4위를 차지했다. 에스에이피코리아는 7.52점으로 5위, 가비아(7.5점), 나무기술(7.49점), 코스콤(7.46점) 등의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