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8월 23, 2025
No menu items!
Home미분류코오롱FnC '볼디스트',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 첫 참가…7일 개막!

코오롱FnC ‘볼디스트’,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 첫 참가…7일 개막!

독보적 기술력과 압도적 안전성으로 차별화된 프리미엄 워크웨어의 방향 제시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이 전개하는 워크웨어 브랜드 볼디스트(BOLDEST)가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국제안전보건전시회, 이하 KISS)’에 첫 참가해 차세대 워크웨어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7월 7일부터 10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KISS는 산업안전 분야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리는 이번 박람회이다. 이곳에서 볼디스트는 약 120평 규모의 독립 부스를 구성하고, 고기능성 워크웨어 및 고안전성 개인보호구(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를 조닝별로 전시해 브랜드 고유의 강점을 어필할 전망이다.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

국내 워크웨어 시장은 약 1~1.5조원 규모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다. 코오롱FnC의 볼디스트는 지난 2020년에 론칭, 고기능성 소재와 차별화된 프리미엄 디자인을 선보이며 국내 워크웨어 시장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특히, ‘리얼 워커와 함께 하는 리얼 워크웨어’라는 슬로건 아래 현재까지도 약 200팀 이상의 워커들과 상품 개발을 함께 하면서, 워크웨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볼디스트의 가장 큰 장점인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헤라크론(HERACRON®)’과 베임방지 및 냉감 기능성 소재 ‘포르페(FORPE®)’ 등을 사용하여 볼디스트만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굴지의 시험 연구기관과 함께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성을 수치화하는 등 신뢰성 확보에도 앞서 나가고 있다. 동시에, 기능성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는 택티컬 디자인(tactical design)’을 전면에 내새우며 볼디스트는 국내 워크웨어의 수준을 한 층 더 끌어올리는 동시에, 시장 확장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상품 재구매율 49%, 매 해 2배 가까운 매출 신장율을 보이며 이를 증명하고 있다.

볼디스트는 지난 해부터 B2B사업을 추가하면서 비즈니스를 다각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함께 하이테크센터 근로자를 위한 기능성 충격방지 모자인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개발한 바 있다. 더 넓은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이번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국제안전보건전시회, KISS)’에 참가하여 부스 전시를 기획하게 된 것이다.

전시의 시작점인 ‘브랜드 존’에서는 50년 이상 축적된 코오롱의 섬유 소재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아라미드 섬유 헤라크론(HERACRON®)과 베임방지 및 냉감 기능성 소재 포르페(FORPE®)가 적용된 제품들을 선보인다. 또한 실제 산업 현장의 작업 특성과 직군별 니즈를 반영한 네 가지 특화 라인업을 선보인다. 건설&공사(Building & Construction) 라인업은 중량 장비를 휴대하고 이동이 잦은 작업 환경을 고려해 설계되었으며, 워크 베스트, 툴 벨트, 고기능 안전화 등으로 구성된다.

모든 제품은 내구성과 수납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정비&기계(Mechanic) 분야는 오일·그리스가 빈번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방오 가공처리가 적용된 원단을 사용해 오염 관리가 용이하며,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페인터(Painter) 직군을 위한 제품군은 화이트 계열 전용 상품과 더불어, 붓·마스킹 테이프 등 도구를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용 파우치를 함께 선보인다. 전기공(Electrician) 라인업은 실제 전기공 협업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실사용자 필드 테스트를 반영한 전용 파우치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기술력을 집약한 ‘볼디스트 랩 존(R&D)’은 방염, 베임방지, 고가시성, 내화학 등 네 가지 핵심 보호 기능별로 구획된 전시를 통해 실제 적용 사례를 시각화한다. 방염(Flame Resistant) 존에서는 아라미드 원료를 정밀 혼합해 개발한 복합소재 헤라윈(HERAWIN)을 중심으로, ISO 11612 및 화염마네킨 테스트(ISO 13506-1)를 통과한 거친 방염 솔루션을 선보인다. 해당 소재는 400℃ 이상의 고온에서도 형태를 유지하며, FR Stretch 기술을 통해 착용 유연성까지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베임방지(Cut Resistant) 존에서는 포르페, 헤라크론, 텅스텐을 삼중 코일링한 독자 원사를 적용한 제품이 전시된다. ANSI A9, EN388 등급을 충족하며, 0.0185mm의 초미세 텅스텐 원사를 활용해 보호 성능과 착용감의 균형을 최적화했다. 고가시성(High–Visibility) 존은 형광 칩과 재귀반사 테이프를 적용한 제품군으로 구성된다. ECLAT사와 협업한 형광칩은 세탁 후에도 색상 견뢰도를 유지하며, 제품의 기능수명을 늘리고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의 가시성과 호환성을 확보했다.

내화학(Chemical Resistant)존에서는 볼디스트만의 인체공학패턴(Engineered Division)을 적용한 내화학복과 고어텍스 엑스트라가드(GORE-TEX® EXTRAGUARD) 소재로 만든 내화학 안전화를 선보인다. 특히 초음파 웰딩 방식으로 제작된 내화학복은 고위험 화학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B2B 파트너 존’은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등 주요 고객사와의 협업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현대건설과 공동 개발한 MA-1 재킷은 방풍 및 보온 기능은 물론 기업 문화까지 바꾼 사례로 대중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외에도 현대자동차의 니즈를 반영하여 함께 개발한 세이프티캡, 그리고 근골격계 부상방지 엑소스켈레톤(Exoskeleton) 장비와 함께 스마트 워크웨어도 선보인다.


이외에도 ‘워크슈즈 존’에서는 직군별 위험요소와 작업 환경을 고려한 볼디스트의 안전화 및 작업화를 전시하며, 미끄럼 방지, 통기성, 내구성 등 기능별 솔루션이 제시된다. ‘협업 존’에서는 보아(BOA®), 고어텍스(GORE-TEX®), 씨에스트로(Cestro®) 등 국내외 파트너사와의 공동 개발 제품을 조명하며, 현장에서는 고어텍스 러기지택에 이니셜을 새겨주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볼디스트 관계자는 “오늘날 산업의 최우선 가치는 바로 사람이며, 그 중심에 근로자의 안전이 있다. 볼디스트는 산업 현장의 문제를 기술력으로 해결하는 ‘워크웨어 솔루션 플랫폼’이 되어 현장의 안전과 효율은 물론, 현장의 자부심과 정체성 그 자체를 표현하는 워크웨어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코오롱 볼디스트, 워크웨어 시장의 주도권 확보 강화한다 – 박병주 BM  인터뷰

볼디스트 박병주 BM

기존의 작업복 개념을 넘어 기능성과 디자인을 겸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는 코오롱의 워크웨어 브랜드 볼디스트. 이 브랜드이 혁신을 이끌고 있는 박병주 BM을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이하 KISS)’가 열리는 킨텍스 전시장 볼티스트 부스에서 만나 현재 워크웨어 시장의 흐름과 볼디스트의 성장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볼디스트는 2020년에 TF(태스크 포스) 형태로 첫발을 내디뎠다. KISS 현장에서 만난 박병주 BM은 “현재는 실질적인 규모로 1천억 원 이상을 달성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에 맞춰 R&D 인력을 대폭 늘리고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기존에는 디자인, 소재, 기술 개발, 일부 B2B 영역, 기획 등을 함께 다루었지만, 이제는 패션 영역과는 확연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R&D를 전담할 수 있는 조직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R&D를 전담할 수 있는 두 가지 새로운 조직이 추가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패션 영역을 훨씬 뛰어넘는 더 많은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워크웨어 시장의 동향에 대해 박 BM은 “저희 예상보다 시장으로 인입되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습니다”라고 진단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과 ESG의 소셜(Social) 부문에서 안전(Safety)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점이 시장 성장을 더욱 빠르게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안전과 관련된 법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법적 의무가 강화되면 기업들이 이를 외면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저희는 기존 계획보다 시장을 훨씬 더 넓게 보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볼디스트 제품의 우수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가격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다고 들었다. 이에 대해 박 BM은 가격 정책을 상세히 밝혔다. “저희는 기본적으로 B2C 기반의 소매가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B2C 가격은 쇼핑몰 등 일반적인 유통망에 들어가는 코스트가 반영된 가격이며, 저희 홈페이지에서도 구매 금액대별로 할인율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B2B의 경우는 별도 상담을 통해 진행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예를 들어, 3천만 원 이상 구매 시에는 약 40% 정도의 할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는 300~400만 원 정도부터 할인을 적용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내용은 볼디스트 홈페이지에 공식적으로 명시되어 있다면서, “단순히 B2C 가격만으로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소규모 개인 구매(B2C)와 300~400명 규모의 단체 구매(B2B)는 가격이 달라지게 됩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경쟁사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에 대한 질문에는 품질의 차이를 역설했다. 박 BM은 “동일 아이템 기준으로 B2B 가격을 비교하면, 저희 제품이 약 두 배 정도 비싸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동일 아이템’이지 ‘동일 품질’은 아니라는 점입니다”라고 단언했다. 그는 “저희는 소재의 퀄리티, 기능성(예: 키도, 만세, 인목)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저희는 패션 의류와는 다르게, 단순히 마크를 많이 붙이는 것에 중점을 두지 않습니다”라고 설명했다.

박 BM은 만약 기존 시장의 아이템과 ‘동일한 등급’의 제품을 만든다면, 볼디스트가 오히려 더 낮은 가격을 제시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재의 퀄리티나 원자재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 일대일 비교는 무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에 7만 원짜리 B2B 점퍼가 있는데 왜 볼디스트는 15만 원이냐고 묻는다면, 그 차이점을 충분히 설명해 드릴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실질적으로 B2B 할인율이 적용되면, 고객들이 체감하는 가격은 훨씬 더 고품질의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가격대라고 생각할 것으로 보여 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볼디스트는 단순히 작업복을 넘어선 안전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 워크웨어로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R&D 역량 강화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워크웨어 솔루션’을 제공할 볼디스트의 미래가 기대된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