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8월 25, 2025
No menu items!
HomeBeauty크레이버, 숫자로 보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 ‘우마’ 성장세 공개

크레이버, 숫자로 보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 ‘우마’ 성장세 공개

뷰티 애그리게이터 스타트업 ‘크레이버’가 운영하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 ‘우마(UMMA)’가 K-뷰티 훈풍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런칭한 ‘우마’는 전 세계 190개 국가의 약 18,700명 이상의 바이어를 회원으로 보유한 B2B 뷰티 전문 커머스 플랫폼이다. K-뷰티의 주요 수요 국가들은 물론 가나,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대륙과 코소보, 폴란드 등 유럽 지역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B2B 네트워크를 보유, 인디 브랜드들이 추가 비용 없이 글로벌 채널을 구축하고 해외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볼 수 있는 ‘온라인 뷰티 박람회’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우마의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주문 건수는 총 4,130 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배 이상 신장했으며, 3세대 K-뷰티 트렌드와 유사한 성장 곡선을 보이며 매출이 특정 국가에 편중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10월 기준, 올해 우마 전체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은 유럽(30%)과 북미(21%)이다.

또한, 동일 기간 기준 전년 대비 매출이 남미 4.7배, 중동 3.9배, 유럽 3.2배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에서 2.8배 증가하는 등 아시아 외 다양한 대륙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실제로, 크레이버가 전개하는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의 경우, 올해 우마를 통해 콜롬비아, 룩셈부르크, 가나 및 몰디브 등 다양한 신규 지역에서의 거래를 성사하며 우마 내 매출이 작년 대비 40%이상 증가했다.

현재 우마에서는 스킨1004를 비롯해 아크로패스, 니들리와 같은 중소 브랜드부터 아모레퍼시픽이 전개하는 아모스와 에뛰드, LG 생활건강의 더 페이스샵 등 약 140개 이상의 다양한 브랜드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제품 수(SKU)는 작년 말 대비 1.7배 이상 늘어난 약 13,000여개이다. 제품 판매 지역을 대륙이 아닌 개별 국가 단위로 디테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현지 판매 가격에 대한 트랙킹이 가능하다는 장점에 기반해 입점 브랜드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박현석 크레이버 부대표는 “인디 K-뷰티 브랜드가 규모의 경제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외 국가에서 B2B 영업을 통한 안정적인 세일즈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라며 “우마에 가입한 바이어들은 B2C 사이트 운영 및 SNS 판매, 플랫폼 및 오프라인 매장 운영 등 다각도에 걸친 세일즈 채널을 보유했으며 올해 재구매율 또한 약 33%에 달하는 만큼 해외에서의 빠른 초기 성장을 지원한다”고 말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