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버랜드는 패션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그동안 진취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그리고 2030년까지 팀버랜드의 모든 제품이 자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자연으로부터 받은 것을 되돌려주겠다는 메세지를 담은 ‘2030 넷 포지티브(net positive) 브랜드 비전’을 발표했다.
아웃도어 활동에서 이어온 브랜드 헤리티지와 더불어 자연보호에 힘써온 팀버랜드는 자연으로 눈을 돌려 영감을 얻고, 재생 농업과 자원 순환을 염두한 친환경 디자인을 통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넷 포지티브 비전을 추구하는 팀버랜드는 2030 년까지 달성할 구체적이고도 측정 가능한 두 가지 목표로 모든 제품의 ‘자원 순환을 염두한 디자인’ 및 ‘재생 농업을 통해 생산된 천연 소재 사용’으로 설정했다.
팀버랜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팀 디렉터인 콜린 비엔(Colleen Vien) 는 “현재에도 환경은 계속 파괴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패션 브랜드로서 우리도 문제의 원인 중 하나임을 잘 알고 있다. 수십 년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지금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때일 것이다.“ 라고 말했다.

또한 “그래서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보다 더 많은 탄소를 땅에 다시 환원해주는 부츠를 떠올려보았다. 그리고 우리는 자연에 순응하고, 자원의 순환과 재생 농업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의 목표가 자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에 무게를 두었다. 지속 가능성을 뛰어 넘어 자연이 스스로 번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여정은 우리에게 정말 즐겁고 보람되는 일이다. 이러한 우리의 비전이 영감을 주어 업계 전체가 함께 노력하고, 우리 모두의 미래 궤도를 바꿀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팀버랜드는 자원 순환을 염두한 제품 디자인을 통해 폐기물 제로(제로웨이스트)를 달성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제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소재를 재생 농업을 적용한 것으로 조달함으로써 자연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다.

자원 순환을 염두한 제품 디자인 (Product Circularity)
자연에서는 사용과 재사용이 있고, 버려지는 것은 없다. 2030 년까지 팀버랜드의 목표는 신발, 의류 및 액세서리에 이르는 모든 제품에 자원 순환을 염두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다. 자원의 순환을 생각하지 않았다면 버려졌을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병, 자투리 가죽, 자투리 양모로 제품을 제작한다. 뿐만 아니라 수명을 다한 제품이더라도 추후 재활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다시 분해 후 새로운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재생 농업 (Regenerative Agriculture)
팀버랜드의 목표는 2030 년까지 모든 제품에 재생 농업을 통해 생산된 천연 소재만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것이다. 재생 농업은 자연 모습 그대로 이루어진다. 동물들이 자유롭게 배회하고 풀을 뜯도록 하여, 땅에 휴식과 치유의 기회를 준다. 그러면 자연 본래의 다양성이 유지되어, 다양한 종류의 작물이 자라난다. 이러한 재생 농법으로 토지는 대기에서 탄소를 끌어내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토양의 구조가 재건되어 건강하고 메마르지 않으며 비옥한 토지를 만들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토지와 농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미국 호주와 브라질에서는 재생 농법을 적용한 재생 가죽(Regenerative Leather)의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팀버랜드는 이러한 재생 농업의 실질적인 장점 연구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세이보리 인스티튜트(Savory Institut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2020년 가을에는 이러한 재생 가죽을 사용해 만든 첫 번째 부츠 콜렉션을 선보일 예정이며, 향후 크게 확장할 계획이다. 이번 부츠 콜렉션은 소재 공급 파트너인 아더 하프 프로세싱(Other Half Processing)을 통해 재생 농업을 실천하는 미국의 사우전드 힐스 라이프타임 그레이즈드(Thousand Hills Lifetime Grazed) 목장에서 공급받은 가죽을 사용하였다.
팀버랜드는 2030 년 브랜드 비전을 실천하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죽 외에도 재생 농법을 적용한 재생 고무, 면화, 양모 및 사탕수수을 공급받기 위한 새로운 공급망 발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선구자격인 재생 농업 농부들과 협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