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8월 21, 2025
No menu items!
HomeExclusive마르디 메크르디, 올해 거래액 2500억 목표ㆍ직영 유통서 전체 70% 달성

마르디 메크르디, 올해 거래액 2500억 목표ㆍ직영 유통서 전체 70% 달성

이익률 35~40%대 기염, 국내외 시장서 K패션 대표 브랜드로 높게 평가

올해도 패션 브랜드 ‘마르디 메크르디’가 눈부신 성장세로 패션 유통 업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 모든 면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기록 중이다.

피스피스 스튜디오(공동대표 박화목·서승완)가 전개하는 이 브랜드는 2022년 370억 원대의 매출(거래액)에서 2023년에는 670억 원대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고, 작년에는 다시 한 번 두 배 이상 성장세를 보여 1,500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일반적인 패션 브랜드가 10% 내외면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마르디 메크르디는 이 보다 3~4배 많은 35~40%대를 기록해 모두를 놀라게 하고 있다.

이처럼 마르디메크르디가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모두 전례없는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다름아닌 대부분의 매출이 공식 브랜드몰, 일명 ‘자사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마르디 메크르디는 전체 매출의 70%를 자사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내고 있다. ( 2025 SS 시즌 선보인 ‘파스텔 오간자(사진 01)’, 브러시 레터링 컬렉션이 인기를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1,500억 원을 분석해 보면, 국내 매출이 1,200억 원, 나머지 300억 원은 해외에서 달성한 매출이다. 해외 매출 300억 원은 일본에 직진출해 직영점으로 오픈한 다이칸야마 매장이 6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영업해 나온 매출 50억 원과 중국, 대만, 태국, 마카오, 홍콩, 인도네시아 등지에 수출한 금액 150억 원, 그리고 일본 온라인 플랫폼 조조타운에서 발생한 매출 100억원이 합쳐진 금액이다.

조조타운은 지난해 3월에 입점했고, 입점과 동시에 매출이 급증해 최고 월 15억 원대를 기록할 정도로 큰 호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제 조조타운의 지난해 매출 100억 원은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달성한 매출이다.

국내 매출 1,200억 원은 다시 온라인에서 800억 원, 그리고 오프라인에서 400억 원으로 각각 나뉜다. 국내 오프라인 매출 400억 원을 살펴보면 전체 4개 매장에서 나온 기록적인 수치이다. 서울 한남동 쇼룸이 총 4개지만, 작은 쇼룸이 모인 것과 같아 실제는 1개 매장 규모로 보고 있다.

따라서 한남동 매장 1개를 비롯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센텀시티점, 롯데월드몰 매장까지 전체 4개에서 400억 원이라는 기록적인 매출을 달성한 것이다.

마르디 메크르디는 국내 자사몰 강화와 더불어 올해 쇼피파이 서비스를 론칭해 해외 고객을 통한 온라인 매출을 더욱 끌어 올릴 계획이다

작년 국내 온라인 매출 800억원, 올해 글로벌 온라인 적극 확대
지난해 전체 매출 1,500억 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유통은 800억 원 매출을 기록한 국내 온라인 유통 채널이다.

이와 같이 마르디 메크르디의 온라인 매출 비중이 높은 이유는 매출과 효율을 모두 극대화하기 위해 세운 온라인과 자사몰 활성화 전략 때문이다. 마르디 메크르디는 2020년에 한남동 쇼룸을 오픈하기 이전에는 무신사, 29CM 등 외부 온라인 플랫폼 매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후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하고, 공식 브랜드몰인 자사몰 활성화에 나선 다음 2023년 12월에 그간 입점했던 외부 온라인 플랫폼에서 단계별 철수를 단행했다. 일각에서는 외부 플랫폼 철수 시에 전체 매출이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모든 플랫폼에서 철수한 이후에도 매출 타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플랫폼 고객이 온라인 자사몰로 대거 이동해 지난해 국내 온라인 매출 800억원이 모두 자사몰에서 발생한 매출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따라서 회사가 직접 운영해 유통 비용이 현저히 낮은 온라인 자사몰과 오프라인 한남 직영점 매출을 합하면 전체의 70%대에 육박해 영업이익율 35~40%대 실현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4월 중순 현재 마르디 메크르디는 카카오 선물하기에 입점해 잡화 및 액세서리 제품 일부를 판매할 뿐 일체 자사몰 외에는 공식적으로 외부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유통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자사몰을 육성하기 위해 집중한 결과 지금도 전체에서 온라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마르디 메크르디가 조유리와 함께한 스프링 컬렉션이 신선하고 감각적인 스타일로 고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마르디 메크르디의 서울 한남동 플래그십스토어는 여전히 국내외 고객들이 몰리면서 핫플레이스로써 역할을 하고 있다.향후 마르디 메크르디는 온라인 매출을 보다 더 끌어 올리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워 놓고 있다.

먼저 ‘스프링 페스타’처럼 분기별로 자체 행사를 진행하고, 72시간 주말 특가, 브랜드 데이 행사 등 다양한 온라인 기획 행사를 추진해 성과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또한 최근 배송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 물류회사 DHL과 계약했고, 고객의 불만,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단독 고객서비스(CS) 센터 구축에도 돌입했다.

요즘 다들 도입하고 있는 챗봇을 통한 고객 응대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직접 CS 교육을 받은 전문 직원들을 채용해 보다 편리하고 빠른 고객 응대를 통해 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높일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 해외 온라인 시장 확대를 위해 캐나다 온라인 플랫폼 ‘쇼피파이’를 도입한다. 해외 고객의 편리한 결제, 빠르고 안전한 배송 시스템을 갖춘 쇼피파이를 통해 해외 온라인 고객 확대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올해 마르디 메크르디는 국내는 물론 해외, 그리고 온·오프라인 모두 합해 전체 거래액 기준 25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들어 1분기 약 40% 신장률을 기록해 목표 달성은 무난할 전망이다.

마르디 메크르디의 서울 한남동 플래그십스토어는 여전히 국내외 고객들이 몰리면서 핫플레이스로써 역할을 하고 있다.

◇ 올 상반기 도산공원ㆍ롯데 본점 오픈, 해외 매장 10개 추가 추진
마르디 메크르디는 온라인 유통 중심으로 비즈니스 구조를 강화하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유통 또한 중요한 만큼 올해도 국내외 매장 확대를 추진한다. 국내는 보수적인 매장 확대를 진행하고, 해외는 파트너사와 손잡고 공격적인 매장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우선 국내는 오는 8월에 도산공원 상권에 위치한 카시나 1997 매장을 마르디 메크르디 도산 플래그십스토어로 변경해 오픈한다.

마르디 메크르디의 서울 한남동 플래그십스토어 내부

100평 규모의 이곳 공간을 새로운 콘셉트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반영해 마르디 메크르디를 한층 업그레이드된 모습을 선보일 전망이다. 이어 롯데백화점 본점에도 신규 출점해 강북 고객과 명동 상권을 찾는 해외 고객을 타깃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으로 해외의 경우 올해 10여 개를 추가 오픈할 방침이다.

도쿄 다이칸야마 플래그십 스토어

현재 39개의 해외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먼저 오는 7월 일본 오사카에 40평 규모의 로드숍을 오픈한다.

서승완 공동대표는 “마르디 메크르디가 온라인 시장에서 독보적 실적을 보이는 브랜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는 수익성이 뛰어난 자사몰에 집중하고, 해외는 일본 조조타운 외에 새롭게 쇼피파이를 도입해 글로벌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올해 오프라인 유통도 강화한다.

국내는 도산공원과 명동 롯데 백화점에 신규 매장을 오픈하고, 해외는 상반기에만 태국, 대만, 말레이시아, 일본 등지에 10여 개를 추가할 방침이다. 브랜드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재 전체에서 30%인 해외 매출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마르디메크르디의 일본 도쿄 다이칸야마 플래그십스토어와 대만 플래그십 스토어

한편 마르디 메크르디는 하이 퀄리티와 빠른 고객 반응 생산을 위해 국내 생산 비중을 계속해서 확대해 현재 80%선까지 도달시켰다. 국내 생산은 원가 상승이 발생하는 대신 고객의 니즈에 맞는 빠른 반응 생산이 가능해 재고율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이점을 갖고 있다.

결국 마르디 메크르디는 K패션 브랜드로서 ‘Made in Korea’를 달고 국내외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국내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르디 메크르디는 지속적인 혁신과 확장을 통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패션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단단하게 다져 나가고 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